기후위기는 미증유의 전시상황과 같다. 이 위기 극복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그를 위한 인프라 구축은 시급하다. 다행히 세계 각 국 정부는 탄소경제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연구 투자에 전념하고 있다. 그런데, 그 와중에 기후위기의 대안으로 최근 자주 들려오는 화두가 있다.
바로 수소경제다.
처음에는 수소경제가 무엇인지 알지못했었다. 하지만, 나름 기후위기 관련된 내용이라 관심이 있어 살펴보니 여기에는 몇 가지 간과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늘 그렇듯, 이런 문제점과 한계는 깊이있게 검색해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었고, 일반적인 한글 키워드로는 장밋빛 미래만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이 포스트를 통해 회의론과 비관론을 요약해보고자 한다.
선택과 집중의 걸림돌
우선 수소경제 인프라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재원은 결국 친환경에너지 전환에 사용되는 재원과 영합게임을 해야한다. 쉽게말해, 풍력, 태양광 시설 설치와 운영을 위한 재원 그리고 그렇게 생산된 에너지 저장을 위해 이용되는 배터리팩 관련 산업과 수소경제 인프라는 각국 정부의 한정된 재원을 두고서 경쟁관계라는 말이다.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지금부터 탄소배출을 0으로 줄인다 할지라도 1.5도가 상승하는 티핑포인트(임계점)은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배터리를 중심으로한 친환경에너지 산업은 이미 검증과 투자가 이루어져 왔지만, 수소에너지 산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것이 중론이기 때문에 전쟁과 다를 것 없는 현 상황에서 선택과 집중이 아닌 수소경제를 위한 분산은 기후위기 대응의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쉽게 비유하자면, 지금 당장 영양가 충분한 음식이 차려지고 있는데도, "이 재료들 가지고 더 맛있는 요리 레시피 연구해서 더 나은 요리 만들어 줄게. 물론 언제 만들어질진 몰라"라고 굶주린 아이들에게 말하는 것과 같다.
이런 상황을 나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 그리고 정부관계자들도 모르는 바는 아닐터인데, 왜 정부(특히 한국) 및 각종 매체에서는 수소경제 홍보에 열심일까?
굳이 음모론까지 들먹이지 않더라도 현재의 산업구조를 조금만 들여다보면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수소경제는 죽어가는 그리고 죽어야만 하는 화석연료 기반 산업에게 있어서 '생명 연장의 꿈' 다시말해 '생명유지장치'다. 화석연료 기반 산업의 주축이 수소경제를 뒷받침하고 지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참고기사: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20497571).
수소에너지 산업에 대한 연구까지 부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 백신이 개발 보급 될지라도 코로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해야하듯 수소에너지를 위한 기초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하지만, 선택과 집중을 무력화시킬 만큼의 대대적인 전환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앞서 말했듯 지금은 위기상황이기 때문이다.
어렵게 생각치 않더라도, 수소경제는 피할 수 없는 리스크를 안고 있다. 한가지 상황을 가정해보자. 만약 소형 수소탱크를 단 드론이 조류와 우연히 충돌해 당신의 머리 위로 떨어진다면? 현실적으로 다른 동물이나 기상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예측해 대응할 방법이 있을까?
관련기사
'━ 잡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거 킹 시즌2 후기 (부제: 동물착취자들의 미래) (0) | 2021.11.28 |
---|---|
대단한 사람의 평가기준 (0) | 2021.11.15 |
방구석전문가 벗어나기 (0) | 2021.08.26 |
몬트리올 화이자 백신 완전접종 후기 (0) | 2021.08.02 |
생물종 보전을 위한 세가지 축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