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잡담 ━

한국형 보전정책에 대한 풍자

by 하늘종개 2013. 3. 6.
반응형

새를 보금자리에서 내쫗고 만든 새집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한국의 멸종위기생물 보전을 설명하는 키워드는 무엇일까? 아마 '서식지외보전'아닐까?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들을 잡아다가 증식해서 복원한다는 이 전략은 일견 타당해보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위의 만화의 풍경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머지 않아 깨닳게 된다.

 

우리는 그 교훈을 지난 4대강사업에서 얻은 바 있다. 사대강 댐(보) 공사를 위해 주요 멸종위기종 담수어류의 서식처가 훼손되었다. 국가에서는 그 종들의 보전을 위해 서식지외보전전략을 대안으로 제시했고, 그것을 위해 그 서식처에서 어미물고기들을 쓸어담았다. (혹여 이 "쓸어담는다"는 표현에 불편함을 갖고 있을 사람이 있을까봐 미리 언급해두자면, 어미물고기를 채집하는데 관여된 사람으로부터 들은걸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그리고 성숙된 개체들에게 호르몬을 주사해 뚝딱뚝딱 숫자를 불리고 그것을 강에 도로 풀어놓는다. 그 담수어종이 어떤 환경을 선호하는지 어떠한 환경조건이 갖추어져야 지속적인 생존이 보장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내가 그동안 만난 보전생물학자들에게 이 모습을 설명하고, 돌아오는 대답은 단순하고 또 명쾌했다. 그것은 예산과 시간의 낭비라는 것. 물론 필자 역시 그에 동의한다. 생물의 보전은 과학의 영역이고 보전전략과 관련된 정책 역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보전전략에 어떤 과학적 근거가 기반되어 있는 것인지 필자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 의구심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원까지 진학해 어느덧 졸업까지 하여 연구자로서 삶을 살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그 의구심에 대한 명확한 답은 찾질 못했다. 답을 찾으려 하면 할 수록 오히려 현재의 보전 전략을 지지하지 않는 증거들이 더욱 많다는 사실에 놀라곤 한다.

 

여전히 왜 생물종을 보전하는데 잘못된 처방전이 유효하게 발행되는지 알고 싶다. 아직도 정책을 결정짓는 위치에 비선실세 무당이라도 있는 것일까? 

반응형

'━ 잡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겁한 행동유형 하나.  (0) 2014.07.05
소시오패스 판별법  (0) 2014.06.19
공부하는 이유  (0) 2012.04.10
연구실이란 공간에 대하여  (0) 2012.01.21
굿윌헌팅  (0) 2011.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