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고기이야기 ━

수원청개구리 Hyla suweonensis

by 하늘종개 2010. 5. 14.
반응형

벼를 붙잡고 있는 수원청개구리


저렇게 벼를 붙잡고 울기로 유명하다.


귀찮았는지 물속으로 다이빙


벼로 기어올라가 다시 똑같은 포즈를 취한다.


요녀석은 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에 대한 훌륭한 설명이 있어서 덧붙여 놓습니다. 출처는 서산의 김현태 선생님 이십니다.
수원청개구리 Hyla suweonensis

수원청개구리 무미목(無尾目) 개구리과

학명 : Hyla suweonensis Kuramoto
영명 : Suweon Tree Frog
  Kuramoto, 1980, Copeia, 1980: 102.

분류
  Kingdom Animalia 동물계
    Phylum Chordata 척추동물문
     Class Amphibia 양서강
       Order Anura 개구리목, 무미목(無尾目)
         Family Ranidae 개구리과
           Genus Hyla 속

특징
 크기      몸길이 약 2.5 - 4㎝
 색        등면은 밝은 초록색이거나 푸른빛을 띤 초록색이며 배면은 흰색
 생식      5월 중순∼7월
 서식장소  논
 순치      2(2)/3
 비교적 소형으로 매끄러운 피부를 가진 등면은 녹색을 띠며 자매종인 청개구리 Hyla japonica 에 비해 밝고 노란색이 강한 녹색을 띤다.  가을에는 청개구리와 비슷한 얼룩무늬의 회색을 띤다. 번식시기 때 수컷의 구애음성은 청개구리에 비해 저음의 금속성 소리를 내며 소리간격이 길어서 식별이 가능하다(Yang et al., 1981).
 5월 중순에서 사이에 산란한다. 산란은 논에 산란한다.  알에서 4일 만에 올챙이가 부화하여 나오며 성장이 빠른 개체의 경우 부화한 지 36일경 앞다리가 나온 이후 4일에 걸쳐 꼬리가 없어져 산란 후 성체의 모습을 갖는데 44일 정도 소요된다.
 9월이 되면 등면에 얼룩무늬가 생기며 몸색은 녹색을 띤 회색을 띠며 돌틈 같은 곳에서 겨울잠을 잔다.

비슷한 종과의 비교
 청개구리와 아주 유사하다.  청개구리와 다른 점은 수컷의 경우 번식기에 저음의 금속성 소리를 긴 각격으로 울어 구별이 된다.  몸색은 노란 기운이 많은 초록색을 띠며, 위에서 보았을 때 머리가 좀 더 뾰족하고 청개구리에 비해 머리가 몸통에 비해 작은 편이며 눈덩이도 덜 돌출되었다(그림 2, 그림 3).

분포
 남한강 주변의 논 지역에 더 넓게 분포할 가능성이 충분하나 그 지역까지 살펴보지 못했다.  단지 이천 지역에 분포함을 손상호 님과 함께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의 개성 주변에서 수원청개구리의 소리를 확인하였음을 민미숙 박사님을 통해 들었다. 이로 북한 지역의 조사도 필요하다.

 경기도 : 이천시 신둔면, 이천시 백사면, 파주군 탄현면, 강화도 선원면, 평택시 팽성읍, 시흥시 신현동
 충청남도 : 아산시 둔포면

 처음 발견된 수원의 황구지천 주변과 황구지천의 마지막 지점인 아산만 지역과 강화도 및 파주 지역에 분포한다.  서울대 민미숙 박사님 말씀에 의하면 북한의 개성 지역에서도 수원청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강연선, 윤일병,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 양서파충류 17권, 문교부, 1975.
손상호, 이용욱, 주머니 속 양서파충류 도감, 황소걸음,  2007.
송재영, 국립공원 양서파충류 야외식별도감,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심재한, 김종범, 세밀화로 그린 양서파충류 도감, 보리출판사, 2007.
심재한, 생명을 노래하는 개구리, 다른세상, 2001.
양서영, 김종범, 민미숙, 서재화, 강영진, 한국의 양서류, 아카데미서적, 2001.
양서영, 박병상, 손흥종, 한국산 청개구리속(genus Hyla)의 종간 비교,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2:75-83, 1981.
양서영, 유재혁, 박병상, Rana nigromaculata와 Rana plancyi 2종의 자연 잡종 및 생식적 격리기작에 관하여, Korean J. Zool. 31:1-10, 1988.
원홍구, 조선량서파충류지, 과학원출판사, 1971.
코딱지, 코딱지의 수수께끼-개구리와 도롱뇽, 생각주머니, 2006.
http://cafe.naver.com/yangpakor



반응형

'━ 물고기이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0) 2010.06.18
생물종 보존의 핵심  (1) 2010.05.20
큰줄납자루 Acheilognathus majusculus  (0) 2010.04.29
실뱀장어  (2) 2010.04.22
각시붕어 Rhodeus uyekii (Rhodeus sinensis)  (0) 2010.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