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연구자의 길

과학자의 언어

by 하늘종개 2017. 6. 3.
반응형

자연과학자는 자연 속에 감추어진 진리를 과학적인 합리주의로 탐구하는 사람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자신이 밝혀낸 새로운 결과를 논문이라는 고전적이지만 여전히 강력한 틀의 출판 형태로 세상에 발표한다. 만약 누군가가 밝혀낸 사실(학설)에 대해 반하는 증거를 발견한다면 정상적인 과학자라면, 기존 학설에 반증을 담은 논문을 출판하는 것으로 반박을 하게 된다.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증거와 반증이 격돌하여 여러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게 되면, 과학자들은 해당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여러 사례들을 연구하여 자신의 데이터와 분석결과가 어떤 학설을 지지하는지를 논문으로 발표한다. 이후 여러 연구들이 축적되면 많은 지지를 받는 학설은 학계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져 일반화되고 그렇지 못한 학설은 도태된다.

 

기린의 목이 길어진 원인을 설명하던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이론이 기각된 이유도 바로 이런 맥락이다. 어떤 형질의 유전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은 부모 세대에서 획득된 형질이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 않는다는 증거를 발표하였고 결국 많은 증거를 갖고 있던 자연선택은 정설이 되었다.

 

이처럼 기자가 기사로 말하고, 요리사가 맛있는 음식으로 자신을 드러내듯이 과학자는 논문으로서 자신의 주장을 대변해왔고 앞으로도 그래야만 한다.

 

만약 어떤 과학자가 논문으로 말하지 않는다면, 대중들은 그 사람의 '과학자로서의 자질'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천재적인 피겨스케이터라면서 점프 하나도 제대로 못뛰고, 요리사라면서 요리를 할 줄 모른다면, 그 자질을 의심하는건 상식일 것이다. 

 

음식 맛(논문)으로 승부하지 않는 요리사(과학자)를 과연 어느 누가 인정하는가? 

반응형